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E H 카 러시아 혁명

E H 카 러시아 혁명

  • E. H. 카
  • |
  • 이데아
  • |
  • 2017-07-15 출간
  • |
  • 336페이지
  • |
  • 141 X 216 X 24 mm /441g
  • |
  • ISBN 9791195650170
판매가

19,000원

즉시할인가

18,050

카드할인

0원(즉시할인 0%)

적립금

190원 적립(1%적립)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추가혜택

네이버페이 무조건 1%적립+ 추가 1%적립

수량
+ -
총주문금액
18,0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왕따’ 역사학자의 러시아 혁명사 연구

《역사란 무엇인가》의 저자로 잘 알려진 카는 (국내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소비에트 러시아’의 세계 최고 권위자였다. 카는 영국의 전형적인 보수 성향 중산층의 아들로 태어나 모범생으로 대학을 졸업한 1916년에 하급 직원으로 외무부에 들어가 1936년까지 20년 동안 외무부에서 일했다. 처음에는 볼셰비키에 적대적인 시각을 갖고 있었으며, 레닌의 혁명 정부를 상대로 영국 등 서구 자본주의가 벌이는 무역 봉쇄를 시행하는 역할도 맡았다. 그러나 러시아 내전을 거치면서, 처칠을 필두로 한 대對소비에트 강경파에 맞서 러시아 혁명 정부를 인정하고 그들과 공존해야 한다는 입장을 갖게 됐다. 이러한 일종의 온건한 현실주의는 제1차 세계대전 종전부터 제2차 세계대전 발발까지를 살피며 국제정치에서 평화의 조건을 모색한 책인 《20년의 위기》(1939년)으로 집약된다.
1936년 외무부에서 사임한 뒤 웨일스대학에 잠시 몸담았다가, 제2차 세계대전 중인 1941~1945년에 《타임스》 부편집인으로 일했다. 이 시기에는 대공황 이후 결국 전쟁으로 폭발한 자본주의의 무질서함, 그리고 그와 대비되는 소련 계획경제의 성장을 목도하면서 정치적으로 점차 왼쪽으로 옮겨 갔다. 또 다른 전쟁을 막기 위해서는 온건한 사회주의적 유럽 연합을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렇지만 당시 카가 염두에 둔 사회주의는 권위주의와 사회민주주의가 결합된 다소 모호한 성격이었다.
카는 마르크스주의 자체에는 기본적으로 동의하지 않았지만, 대공황과 양차대전으로 점철된 자본주의 위기의 시대에 계획화와 전체주의에 호의적인 시각을 견지했다. 그 때문에 보수적인 기성 학계에서 왕따에 가깝게 배척당했다. 하지만 오히려 그것이 소비에트 러시아의 역사에 대한 연구와 집필에 몰두하는 계기가 됐다. 그 결과물이 1권이 나온 1950년부터 마지막 권이 나온 1978년까지 28년 동안 열네 권으로 펴낸 《소비에트 러시아의 역사》(1950~1978년)이다.
그 와중에 1955년 케임브리지에 자리를 잡은 뒤 반反볼셰비키 역사학자들의 이념 공세에 계속 시달리던 카가 “당파적” 역사가인 자신을 옹호하면서 반격에 나서며 쓴 책이 《역사란 무엇인가》(1961년)이다. 경험적 사실에 매몰된 보수주의 역사학에 일침을 가하면서 역사학자는 필연적으로 시대와 사회의 일부이며, 오히려 그런 처지를 기꺼이 인정해야만 사실을 선택하고 해석하는 데서 상대적 객관성을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14권의 출간을 끝낸 직후인 1979년에 이 대작을 일반 독자용으로 간추린 것이 바로 이 책이다. 이 책에는 카가 30년 넘게 몰두한 러시아 혁명사 연구의 정수가 담겨 있는 셈이다.

러시아 혁명에 대한 세 가지 관점

1917년 혁명이 일어나자마자 러시아 자체에서나 외부에서나 이 충격적인 사태를 파악하고 이해하려는 시도가 생겨났다. 초창기에 혁명을 현장에서 직접 경험한 이들이 목격담을 쓴 이래, 크게 세 가지의 시각에서 러시아 혁명을 바라보는 역사 서술이 있었다.
서구에서는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이 시작된 뒤로 보수 반공주의 역사학자들이 소련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토대로 혁명의 역사에 주목했다. 그런데 그들이 보기에, 혁명은 극소수 볼셰비키의 음모로 일어난 일종의 쿠데타였고, 대중의 지지를 얻지 못한 볼셰비키 세력은 체제 유지를 위해 일당 독재와 전체주의, 반대 세력에 대한 가혹한 탄압을 계속할 수밖에 없었으며, 그 때문에 결국 소련은 무너질 운명이었다. 이 학자들은 편견에 사로잡힌 나머지 기본적인 사실도 왜곡하기 일쑤였고, 무엇보다도 노골적인 선입견 때문에 객관적 현실을 외면했다. 《역사란 무엇인가》에서 “최근 10년 동안 영어 사용권 국가들에서 소련에 관해 쓰인 …… 글들 가운데 상당수는 상대방의 마음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을 가장 기본적인 수준에서조차 상상적으로 이해할 수 없었기 때문에 망가져 버렸”다고 카가 꼬집은 것이 바로 그들이다.
한편 마르크스주의자나 트로츠키주의자가 아닌 입장에서 이런 보수 반공주의에 반기를 들고 사실에 충실한 역사를 추구한 독보적인 인물이 카이다. 카는 소련 체제를 독특한 형태의 산업화·근대화 과정을 거치는 국가로 바라보며 내재적 접근을 한다는 점에서 두드러진다. 카의 연구는 두 가지 점에서 냉전적 시각의 주류 역사와 갈라선다. 무엇보다도 러시아 혁명이 볼셰비키의 음모적 쿠데타가 아니며, 오히려 19세기 말 이래로 끊임없이 자생적인 봉기와 반란을 일으킨 대중이 혁명의 주역이라고 본다. 10월 혁명에서 가장 적극적인 세력이었던 볼셰비키조차 끝까지 임시정부를 무너뜨리는 봉기를 주저했다는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 또한 카는 차르 체제는 스스로 개혁하지 못해서 자멸해 버렸고, 그것을 대체한 부르주아 민주주의 역시 대중의 끓어오르는 정치적·사회적 열망을 만족시킬 해법을 내놓지 못했기 때문에 무너질 운명이었다고 단언한다. 1917년 10월의 순간에 러시아 앞에 놓인 길은 사회주의뿐이었다는 것이다.
카는 누구보다도 충실하게 혁명의 역사를 추적하고 기록했지만, 좌우 어느 쪽에서도 받아 마땅한 만큼의 관심을 얻지 못했다. 광의의 수정주의 학파의 선구자라고 볼 수 있건만, 냉전의 한가운데서 어느 한쪽 편에도 서지 않았던 터라 많은 이들이 카의 방대한 저서를 제대로 읽지도 않았다.
다른 반대쪽에는 소련의 공식 혁명사가 있다. 스탈린 시대에 스탈린이 혁명에서 맡은 역할을 과대 포장하면서 생겨난 공식 혁명사는 소련 사회의 변화에 따라 여러 차례 굴곡과 변천을 겪었지만, 기본적으로 혁명의 과정을 필연성으로 옹호하는 성격이 강하다. 혁명 승리를 강조하고 체제의 정당성의 원천으로서 혁명을 계속 소환해야 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러시아 혁명에 대한 관심이 가장 컸던 1980년대에 가장 널리 읽힌 혁명사도 브레즈네프 시대인 1969년 소련 사회과학원에서 대중용 역사책으로 펴낸 책을 번역한 《소련공산당사》이다.(1985~1992년에는 전 6권으로 출간됐고, 1987~1991년에는 《러시아혁명사》라는 제목으로 전 3권이 출간됐다.) 《러시아혁명사》로 나온 세 권은 도합 20만 부 가까이 팔렸다고 하니, 1980년대 후반 한국에서 러시아 혁명에 대한 관심과 열기가 어느 정도였는지 가늠이 된다. 카의 이 책 역시 1980년대에 출간된 적이 있지만, 당시에는 독자들의 관심을 많이 끌지 못했다. 1980년대에 민주화를 열망했던 한국인들은 민중 운동의 이념적 근거와 실천적 지침을 찾기 위해 러시아 혁명을 읽었는데, 10월 혁명이 부딪힌 갖가지 딜레마와 한계를 냉정하게 정리한 카의 설명보다는 자랑스러운 승리의 역사를 열정적으로 서술하고 도식적인 혁명 방법론을 제시하는 소련 공식 역사서가 더 환영받았던 탓이다. 그렇지만 그런 열렬한 관심은 1991년 소련이 붕괴하자 차가운 무관심으로 바뀌었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오히려 혁명의 열기가 식은 지 오래인 지금에야 이 책의 의미를 제대로 살펴볼 수도 있을 것이다.

혁명의 딜레마와 “사회주의 부정 그 자체”

1917년에서 시작해서 1929년으로 끝나는 이 책의 서술은 혁명의 발발부터 전쟁과 내전, 전시공산주의, 신경제정책, 5개년 계획, 농업 집단화, 독재의 시작 등으로 이어지는 혁명 직후 10여 년의 기간을 다룬다. 혁명의 딜레마가 어떤 식으로든 처리되고 스탈린 독재의 기틀이 마련되면서 향후에 소련 체제가 나아갈 방향이 정해진 시점까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애초에 혁명이 추구했던 이상이 내전과 식량난, 경제적·사회적 압력이라는 소비에트 체제의 생존 자체를 위협하는 장벽에 부딪히면서 전시공산주의와 신경제정책 등 혁명 전에는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정책이 실행되는 과정을 카는 집요하게 추적한다.
볼셰비키만이 아니라 당대의 모든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예상하고 기대했던 세계 혁명, 즉 선진자본주의 유럽의 동시 혁명이 감감무소식인 가운데, 오히려 러시아 혁명 정부는 유럽 각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백군의 공격에 시달렸다. 혁명 직후 벌어진 내전은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를 더욱 피폐하게 만들었다. 이 책에서도 계속 등장하는 것처럼 곡물 수확이 풍작인지 흉작인지는 혁명의 생존 여부를 좌우할 정도로 소비에트 정부의 초미의 관심사였다. 그만큼 사회주의의 물질적 토대가 취약한 상황에서 공산당 지도부는 계속해서 딜레마에 맞닥뜨렸다.
카가 보기에, 이런 정치적·군사적 위협과 경제적 곤란에 대해 볼셰비키 지도자들은 저마다 다른 해법을 내세우며 이합집산을 했고, 논쟁의 결과로 당 중앙위원회에서 잇따라 내놓은 포고령과 정책이 혁명의 항로를 결정했다. 그런데 사회주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된 수단은 종종 “사회주의의 부정 그 자체”였다. 제헌의회 해산, 일당 국가로의 변신, 강제적 농업 집단화 등을 거치면서 혁명의 이상은 점점 변질됐다. 사회주의와 민주주의는 완전히 분리됐으며, 강제적 농업 집단화는 엄청난 비극을 초래하고 소련 사회에 지워지지 않는 상처를 남겼다. 카는 이 과정을 추적하면서 계속해서 질문을 던진다. 이런 결말은 혁명의 이상이 직접적으로 낳은 논리적 결과인가, 아니면 혁명의 이상에 대한 배신인가? 배신이라면 누가 어떻게 배신한 것인가? 스탈린 독재 체제는 레닌이 추구했던 혁명의 연장선에 있는가? 아니면 레닌주의를 뒤엎은 결과인가? 카는 스탈린과 레닌의 연속성을 인정하면서도 레닌의 진정한 국제주의와 마르크스주의, 평등주의, 그리고 스탈린의 민족주의와 권력욕, 국가주의와 피상적인 사회주의를 구별한다. 일례로 카는 아이작 도이처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렇게 말한다. “소련의 역사는 레닌이 73세가 아니라 53세에 죽고, 스탈린이 53세가 아니라 73세에 죽었다는 ‘우연한 사실’에 영향을 받았으니까요.”

흥분과 열정, 저주와 비난이 아닌, 혁명에 대한 시선

소련 체제가 아직 건재하던 1979년에 카가 최종적으로 평가하는 것처럼, “혁명의 기록은 결함과 모호함으로 점철됐다. 하지만 혁명은 현대의 다른 어떤 역사적 사건보다도 세계 전체에 걸쳐 더 심대하고 지속적인 반향을 미치는 원천이었다.” 현실의 사회주의가 생명을 다함에 따라 언뜻 보기에 이런 지속적인 반향 역시 잦아든 것처럼 보인다. 체제 경쟁의 상대이자 냉전의 적수가 사라진 세계에서 신자유주의로 변신한 자본주의는 거침없이 활개를 친다. 혁명 자체가 반향을 미치기보다는 혁명의 기억을 미연에 차단한다는 합의만 존재할 뿐이다.
올해로 100주년이 되지만, 러시아 혁명은 누구도 기념하지 않으며, 무관심과 냉대를 받고 있다면 지나친 과장일까? 70여 년 동안 존재했던 ‘현실 사회주의’ 체제는 사라지면서 어떤 교훈을 남겼을까? 과연 러시아 혁명이 던진 질문이 아무 쓸모도 없는 걸까? 혁명이 건설하고자 했던 사회는 스스로 명을 다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마치 혁명이 아예 일어난 적이 없던 것처럼 무시해도 되는 걸까? 러시아 혁명은 “‘하층계급들’이 더 이상 옛날 방식으로 살기를 ‘원하지 않고’, ‘상층계급들’이 더 이상 옛날 방식을 유지할 ‘수 없을’ 때, 그리고 억압받는 계급들의 고통과 곤궁이 평상시보다 한층 더 극심해질 때, 혁명은 일어난다.”는, 1915년 레닌의 예언이 고스란히 들어맞은 혁명이었다. 아무리 외면당한다 해도 러시아 혁명은 프랑스 혁명과 더불어 인간의 삶의 방식을 뿌리째 뒤흔든 사건이며, 오늘날 우리가 사는 세계를 심대하게 변형시켰다.
이 책에서 카는 감정과 교조를 배제하면서도 공감하는 방식으로 혁명의 성과와 오류를 기록한다. 냉정하고 공평하게 혁명의 세부적인 과정을 서술하고 있다. 흥분과 열정, 환멸과 저주, 비난과 무시가 가라앉은 지금이야말로 이 책이 필요한 시점이지 않을까?

목차

머리말―5
연대표―7

1. 1917년 10월―13
2. 두 세계―25
3. 전시공산주의―41
4. 신경제정책의 휴식기―54
5. 새로운 소비에트 질서―65
6. 가위 모양 가격 위기―81
7. 레닌 최후의 날들―96
8. 스탈린의 부상―107
9. 소련과 서구(1923~1927년)―131
10. 소련과 동방(1923~1927년)―146
11. 계획화의 시작―162
12. 반대파의 패배―174
13. 농업의 딜레마―185
14. 산업화에 따른 진통의 고조―196
15. 1차 5개년 계획―210
16. 농민의 집단화―227
17. 독재의 양상―241
18. 소련과 세계(1927~1929년)―256
19. 역사적 관점에서 본 혁명―272

해제―281
옮긴이의 말―321
1917~1929년에 관해 더 읽을거리―329
찾아보기―330

저자소개

저자 E. H. 카(Edward Hallett Carr)는 기념비적인 역사책 《역사란 무엇인가》의 저자로 잘 알려진 E. H. 카(1892-1982)는 영국의 정치학자이며 역사학자였다. 케임브리지 대학을 졸업한 뒤 1916년부터 20년간 영국 외무부에서 일했다. 이 당시 카는 ‘러시아 혁명 정부’를 상대로 영국 등 서구가 추진하던 무역 봉쇄에 관한 업무를 맡기도 했다. 1936년 웨일스 대학 교수로서 국제 정치학을 강의하다가 1947년에 물러났다. 제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41년부터 1946년까지 《타임스》 부편집인으로 지냈으며 이후 국제 연합의 세계 인권 선언의 기초 위원회 위원장으로도 활약했다.
무엇보다 카는 ‘소비에트 러시아’에 대한 세계 최고 권위자였다. 카는 소비에트 러시아에 대한 연구와 집필에 평생을 몰두했으며, 그 결과물로 1950년 1권부터 1978년 마지막 권까지 28년 동안 총 14권으로 《소비에트 러시아의 역사 History of Soviet Russia》가 출간됐다.
“역사는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라는 카의 유명한 묘사처럼, 전쟁과 혁명으로 상징되는 20세기의 한 역사를 매우 냉철하게 분석하고 “수정같이 명료”하게 서술했다. 지은 책으로 《양차대전 사이의 국제관계 1919~1939 International Relations between the Two World Wars 1919-1939》, 《20년의 위기 1919~1939 The Twenty Years’ Crisis 1919-1939》, 《민족주의와 그 후 Nationalism and After》, 《새로운 사회 The New Society》, 《1917년 : 전과 후 1917: Before and After》, 《미하일 바쿠닌 Michael Bakunin》 등이 있다.

도서소개

E. H. 카의 불편부당하고 ‘수정같이 명료한’ 러시아 혁명사

혁명의 기원에서 좌초까지…혁명의 딜레마와 세계사적 반향에 대한 집요한 추적
2017년 러시아 혁명 100주년, 독점 계약 한국어판 정식 출간

1917년 ‘세계를 뒤흔든 열흘’ 이래 올해(2017년)는 러시아 혁명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1917년 러시아 혁명은 역사의 전환점이었으며, 후대의 역사학자들에게 20세기 최대의 사건으로 평가받는 것도 당연한 일일 것이다. 프랑스 혁명이 그렇듯이, 러시아 혁명도 한쪽에서는 인류를 과거의 억압에서 해방시킨 이정표로 찬양받고, 다른 쪽에서는 범죄이자 재앙으로 비난받는 식으로 오랫동안 계속해서 양 극단의 평가를 받을 것이다.”라는 E. H. 카의 말처럼, 러시아 혁명은 “보수주의자에게는 도깨비 같은 괴물이었고 급진주의자에게는 희망의 횃불”같은 존재였다.
“역사는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라는 카의 유명한 묘사처럼, 카는 전쟁과 혁명으로 상징되는 20세기의 방대한 역사를 매우 냉철하고 ‘수정같이 명료하게’ 서술했다. 이 책 《E. H. 카 러시아 혁명》은 카의 방대한 역사 서술의 한 부분이며, 카의 러시아 혁명사 연구의 정수이기도 하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