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우리말 강화

우리말 강화

  • 최경봉
  • |
  • 책과함께
  • |
  • 2019-05-16 출간
  • |
  • 336페이지
  • |
  • 140 X 200 X 26 mm /409g
  • |
  • ISBN 9791188990351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카드할인

0원(즉시할인 0%)

적립금

750원 적립(5%적립)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추가혜택

네이버페이 무조건 1%적립+ 추가 1%적립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남녀가 부부 관계를 맺음’의 뜻인 ‘결혼’에는 ‘이룬다’는 뜻이 담겨 있다. ‘결혼’의 뜻이 이러니 ‘미성년, 미완성, 미해결’이 자연스럽듯 ‘미혼’이 자연스러울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비혼’이란 말을 만든 애초의 의도를 제대로 살리려면 접두사 ‘비(非)-’와 ‘미(未)-’의 차이에 주목할 게 아니라 어근 ‘(결)혼’을 벗어나는 말을 만들어야 하는 건 아닐까?” (〈비혼과 비정규직〉, 47~48쪽)
말을 그렇게 쓰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빵’은 먹으려고 만든 것인데 왜 굳이 ‘식빵(食-)’이란 말을 쓰는지 모르겠다”는 질문을 받은 적이 있다. ‘식빵’이란 말이 자리 잡은 과정은 ‘종이책’이란 말이 자리 잡는 과정과 유사하다. ‘전자책’이 등장하면서 ‘종이책’이란 말이 만들어진 과정에 비춰보면, ‘식빵’은 ‘빵’이 다양해지는 상황에서 ‘주식용 빵’을 가리키기 위해 만들어진 말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식빵’이란 말이 일반화되면서, 한때는 ‘빵’ 그 자체였을 ‘식빵’은 어느 순간 ‘단팥빵’, ‘곰보빵’ 등과 더불어 ‘빵’의 한 종류가 되었다. 구별하여 지시할 필요가 있을 때마다 낱말은 진화를 거듭한다.” (〈종이책과 식빵〉, 77~78쪽)
우리가 보통 말을 사용할 때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은 상황과 의미에 맞게 말을 선택하는 것이다. 글을 쓰는 경우라면 이에 더해 맞춤법, 띄어쓰기와 같은 어문 규범에 맞게 사용했는지를 신경 쓰곤 한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말을 사용할 때 의미적, 규범적 옳고 그름에 크게 주목하는 경향이 있다. 그에 비해 우리가 쓰는 말이 그렇게 쓰이게 된 이유에 대해선 큰 관심을 두지 않는다.
우리가 쓰는 말들에는 그 말들이 만들어지고 정착된 언어적 이유와 역사적 맥락이 있다. 그냥 생겨나서 아무 이유 없이 정착되어 쓰이는 말은 없는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말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선 그 말이 지금처럼 쓰이게 된 이유를 파악해야 한다.
《더 나은 언어생활을 위한 우리말 강화(講話)》는 이런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최경봉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이 책에서 우리말을 통해 서로의 경험을 공유해 온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 양상을 톺아본다. 책 제목에서 ‘강화(講話)’는 ‘강의하듯 풀어쓴 이야기’라는 뜻으로, 그 말이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디에서 비롯하였고, 왜 그렇게 이해되는지, 그리고 왜 그렇게 쓰이는지 그 근본 원리에 대한 이야기를 전한다.
우리말은 하나의 현상이다
옳고 그름을 넘어, 우리말에 내재된 원리를 풀어내다
최경봉 교수는 우리말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그 근본 원리를 파악해야 한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말이 만들어지게 된 맥락, 과거의 말과 현재의 말의 상호작용, 우리말 사용자의 경험과 생각, 사회적 상황이 의미 변화와 정착 과정에 어떻게 관여하는지에 관심을 두고 꾸준히 연구해 왔다. 또한 《우리말의 탄생》, 《한글민주주의》, 《국어 명사의 의미 연구》, 《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등 학술서부터 교양서까지 다수 집필하며 우리말에 대한 이해 지평을 넓히고자 노력해 왔다.
이 책은 최경봉 교수가 《한국일보》에 〈우리말 톺아보기〉라는 제목으로 2년 여 동안 연재한 글을 바탕으로 새로 꾸민 책이다. 연재한 100여 편을 수정, 보완하고 30편을 새로 썼으며, ‘그 말은 어떻게 만들었을까?: 말 만들기의 원리’(1부), ‘그 말은 어디에서 비롯한 것일까?: 말의 기원’(2부), ‘그 말이 그렇게 이해되는 이유는 뭘까?: 말의 의미화’(3부), ‘그 말은 왜 그렇게 써야만 할까?: 규범의 존재 의미’(4부)로 묶었다.
“‘바보’란 말이 쓰이는 맥락이 다양해지자, ‘바보’가 포함된 말에서의 연상도 다채로워졌다. ‘바보상자’와 ‘글바보’에는 어리석고 아둔해지는 것에 대한 경계심이 느껴지지만, ‘아들바보’와 ‘딸바보’에는 주체하지 못할 정도로 넘치는 사랑이 느껴진다. ‘글바보’와 다른 느낌의 말, ‘영화 바보’와 ‘책 바보’는 어떤가. ‘그것밖에 모르는 것’이 흉이 되지 않는 세상임을 이 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쓰이는 맥락이 달라지면 말의 느낌이 달라진다. 느낌이 달라지면 그 뜻도 변할 수 있는 것이다.”(〈바보〉, 201~202쪽)
저자는 머리말에서 이 책을 쓴 이유를 다음과 같이 적었다.
“말의 옳고 그름을 따지기에 앞서, 그 말을 쓰는 사람들의 마음과 그들이 이루어 온 언어 문화의 속성에 주목한다.”
저자는 국어학자로서, 우리말을 전통적인 해석틀 안에서 바라보고 해석하지만, 단순히 전통 규범을 기준으로 판단하여 우리말을 ‘옳은 말’과 ‘틀린 말’ 또는 ‘불온한 말’과 ‘제 멋대로 생긴 말’로 구별하는 게 아니라, “세상에 그냥 쓰이는 말은 없다”라는 생각을 바탕으로 우리말이 발생한 이유와 맥락을 구체화함으로써 우리말에 대한 인식 지평을 넓힐 수 있도록 이끈다.
“사람들은 ‘눈물’에서 ‘짜다’는 떠올려도 ‘냄새’를 떠올리진 않는다. 그런데 왜 ‘눈물 나는 짝사랑’을 ‘짠내 나는 짝사랑’이라 했을까? 그래서 이런 생각을 해 보았다. ‘눈물’과 ‘짜다’를 관련 짓는다면, ‘짠내 나는 짝사랑’보다 ‘짠맛 나는 짝사랑’이 더 적절할 거라는 생각을…. 그러나 곧바로 생각을 바꿀 수밖에 없었다. 공감하여 흘리는 눈물이라면 혼자 느끼는 ‘짠맛’보다 여럿이 함께 느낄 수 있는 ‘짠내’가 더 어울릴 것이기 때문에….”(〈짠내〉, 246~247쪽)
이 책은 신조어부터 기존 어문규범까지 폭넓게 다루며, 말의 생성 원리, 어원, 정착 과정 등을 꼼꼼히 살펴본다. 다소 어려울 수 있는 말법을 재미있게 풀어내기 위해 최근 신문 기사, 방송, 영화 대사 등을 예시로 들었다. 또한 외래어와 순화어의 관계(‘마인드’, ‘블라인드 채용’ 등), 일본어 표현에서 비롯된 말들을 어떻게 바라봐야하는지(‘교감과 교육감’, ‘기망과 기만’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사전편찬자로써의 경험을 살려 우리말 사전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도 한다. 또한 독자들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전문 개념들은 글 중간에 박스글로 따로 정리해 두었다.
언어활동은 사회상을 반영한다. 그리고 그러한 언어활동의 저변에는 논리를 뛰어넘는 의식의 흐름이 있다. 어떤 말을 그렇게 쓰는 데에는 사회, 그리고 그 사회의 일원인 나 자신의 뚜렷한 이유와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리말 현상의 근본 원리를 이해하면 자연스럽게 우리말 사용자로서 내 안에 잠재된 언어 의식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의식을 잘 깨워 활용한다면, 우리말 능력을 강화(强化)하는 동력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1부 그 말은 어떻게 만들었을까. : 말 만들기의 원리
가짜뉴스 | 개이득과 개 좋아 | 개장국과 육개장 | 고급지다 | 극장골과 극장 | 긴팔과 긴소매 | ‘꽃’과 어울려 만들어진 말 | ‘꿀’과 어울려 만들어진 말 | 도끼병 | 떡락과 떡 | 마른장마 | 불맛 | 비혼(非婚)과 비정규직(非正規職) | 삼계탕(蔘鷄湯)과 계삼탕(鷄蔘湯) | 손글씨 | 손기척 | 순삭하다 | 신박하다 | ‘엄마’를 가리키는 말 | 여자사람친구 | 열일하다 | 오지다 | 완곡어 | 웃프다 | 잉여롭다 | 종이책과 식빵 | 줄임말 | 짤방과 짜르다 | 충(蟲) | 콧방울과 꽃망울 | 핵(核) | 혼밥과 혼술 | 흙밥과 흙수저
. 문법화와 어휘화 | 유추 | 환유(換喩) | 은유(隱喩) | 다의어와 동음이의어 | 유표성(有標性) | ‘-롭다’와 ‘-스럽다’ | 준말과 줄임말(약어)
2부 그 말은 어디에서 비롯한 것일까. : 말의 기원
간발의 차이 | 개거품과 깨방정 | 교감과 교육감 | 구레나룻과 마름질 | 금자탑(金字塔) | 기망(欺罔)과 기만(欺瞞) | 낙타와 밧줄 | 내일 | 노동과 근로 | 닭도리탕 | 도깨비와 꿀떡 | 말귀 | 망측하다, 느지막하다, 직사게: 음운변화와 규범 | 무색옷 | 발이 넓다와 얼굴이 넓다 | 빈대떡 | 사체(死體)와 시체(屍體) | 숙맥과 쑥맥 | 애당초와 애시당초 | 오덕후 | 입장(立場)과 처지(處地) | 자유(自由) | 장부(帳簿)와 치부(置簿) | 젠체하다와 재다 | 창피하다 | 천만에와 천만의 말씀 | 천장과 천정 | 청국장과 호빵 | 한데 | 핸드폰
. 원어(原語)와 어원(語源) | 닭볶음탕 | 어로불변(魚魯不辨) | 젠체하다와 내로라하다 | 수저의 어원 | 콩글리시와 한국 한자
3부 그 말이 그렇게 이해되는 이유는 뭘까. : 말의 의미화
간식(間食) | 감칠맛 | 개와 개집 | 긋다 | 껍데기와 껍질 | 네와 넵 | 늙은이와 어르신 | 도련님과 아가씨 | 동성애와 찬성하다 | 드레스 코드와 표준 옷차림 | 뜬돈과 뜬벌이 | 마인드 | 바보 | 방금과 금방 | 보수(保守)와 수구(守舊) | 블라인드 채용 | 뼈, 뼈다구, 뼉다구, 뼉다귀 | 생(生) | 선글라스와 색안경 | 수우미양가 | 시크하다 | 신소리와 흰소리 | 씨(氏) | 아무나 | 아저씨 | 여성(女性)과 지방(地方) | 영화와 활동사진 | 오징어와 낙지 | 올림과 드림 | 전환(轉換)과 환수(還收) | 우연찮다 | 정훈(政訓)과 정훈(精訓) | 짠내 | 페미니스트와 미망인 | 표와 촛불 | 한글과 한국어 | 행여나와 혹시나
. 외국어를 우리말에 수용하는 방법 | 바보의 어원 | 어휘장
4부 그 말은 왜 그렇게 써야만 할까. : 규범의 존재 의미
건넛방과 건넌방 | 그러다와 그렇다 | 난들과 낸들 | 내지(乃至) | 노라고 | 돋치다와 부딪치다 | 두음법칙 | 등(等) | 딛다와 갖다 그리고 서툴다: 준말의 활용 | 맞다와 걸맞다 | 매무새와 매무시 | 머지않아와 머지않다 | 문화어와 평양말 | 바래다와 놀래다 | 붇다 그리고 누렇다와 뿌옇다: 낯선 형태의 말 | 사겨보다와 줴박다 |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 | 손수건과 발수건 | 수(數)를 표기하는 방식 | 쉼표 | 스스럽다와 스스럼없다 | 아무러면과 아무려면 | 알은척 | 에와 애 | 오지랖과 무릎 | 우려내다와 울궈내다 | 자그마치와 자그마한 | 졸다, 줄다, 쫄다 | 주책과 안절부절 | 틀리다와 다르다 | 행복하자
. ‘ㅎ’ 불규칙 활용 | 의미의 전염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