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현토완역 시경집전 -상

현토완역 시경집전 -상

  • 주희
  • |
  • 전통문화연구회
  • |
  • 2019-07-15 출간
  • |
  • 393페이지
  • |
  • 188 X 258 X 25 mm /831g
  • |
  • ISBN 9791157942091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9,100

카드할인

0원(즉시할인 0%)

적립금

300원 적립(1%적립)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추가혜택

네이버페이 무조건 1%적립+ 추가 1%적립

수량
+ -
총주문금액
29,1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생각에 사특함이 없다”-≪시경詩經≫의 성격

≪시경≫이란 어떤 책인가. ≪논어≫의 말을 빌자면 사무사思無邪, 곧 “생각에 사특함이 없는” 내용이다. 본래 이 말은 ≪시경≫ 노송 경 에 나오는 말인데, 공자가 시를 읽다 마음에 부합되는 바가 있어 단장취의하였다고 한다. 이 시들은 주나라 때 민간의 가요를 채록한 것들로 풍風ㆍ아雅ㆍ송頌이 갖추어 전한다.
시는 크게는 천자와 제후, 백성과 관료간의 의사소통에, 작게는 남녀간에 사랑의 감정을 소통하는 매개역할을 하였다. ≪논어≫에서도 “시를 배우지 않으면 말을 할 수가 없다.”라 하여 그 효용을 단적으로 말한 바 있다. 곧 시는 자신의 감정을 다양하게 표현하는 기교가 담겨 있고, 이를 익혀야 감정을 올바르게 표현할 줄 알게 된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국가 간의 외교에서도 시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상징적으로 서로 주고받을 수 있는 능력이 중시되었다.

“주희가 제가의 학설을 집대성하다”-≪시경≫ 성립 과정

한나라 초기에 노나라 신배공과 제나라 원고생과 연나라 한영의 학설을 각각 노시·제시·한시라 하여 삼가시三家詩라 하였다. 이외에 서한 조나라의 모형이 지은 《고훈전》이 당시 민간에만 광범위하게 전파되다가 동한시기에 제자 모장이 박사가 되고 학관에 들었는데, 이를 모시라 하였다. 동한시기에는 정현의 ≪모시전≫이 영향력이 컸다.
당대에 와서 공영달은 당시까지 전래해온 여러 자료를 중심으로 자세한 소疏를 덧붙여 총정리한 ≪모시정의≫를 편찬하였다. 이후 당나라는 물론 송나라 초기까지 관학에서 이를 기준으로 삼아 교육하고 인재를 채용하자 소위 삼가시들은 그 지위를 잃고 모시毛詩만이 전해지게 되었다.
마침내 남송에 이르러 주희가 제가의 학설을 집대성한 ≪시집전≫이 출현하게 되고, 시학의 일가를 이루게 된다. 원나라 때에는 과거시험에서 주희의 ≪시집전≫을 채용하였고, 명나라 때에도 원나라의 제도를 따라 ≪시집전≫을 표준교재로 사용하였다. 호광 등이 칙명을 받들어 ≪시경대전≫을 편찬하였는데 원나라 유근의 ≪시경통석≫을 저본으로 약간 보완한 것이다.

<시서>를 벗어나 해석의 자유를 얻다-주희 ≪시집전≫의 특징

주희 ≪시집전≫의 가장 큰 특징은 예로부터 금과옥조처럼 여긴 <시서詩序>에 대한 부정이다. <시서>는 각 시의 저작 의도, 작자, 유래 등을 설명한 것이다. <시서>의 저자에 대해서는 그 설이 분분한데, 공자, 혹은 공자의 제자 자하로 생각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시서>를 공자, 자하 등이 지었다고 한다면 ≪시경≫의 시는 <시서>의 범위를 벗어나 자유롭게 해석하기 어려워진다. 시는 형식상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상징성이 있으나, <시서>는 해석의 방향을 안내해 주는 역할로 인해 오히려 해석의 자유를 심각하게 훼손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주희는 <시서>를 공자, 자하 등이 지었다는 설을 부정한다.
주희는 시가 도리어 서序에 따라 지어진 것처럼 된 모순을 지적하며 시 본문에 의거하여 자신이 그르다고 생각한 것에 대해서는 과감하게 기존 <시서>의 견해를 부정하였다. 이를 통해 주희만의 독자적인 ≪시경≫ 해석이 가능해진 것이다. 이런 경향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소위 음시淫詩라고 하는 시들이다. 기존 이런 시들은 풍자를 목적으로 한 시이며, 예의에서 벗어나는 내용의 시들은 없다란 입장에서 벗어나 주희는 ≪시경≫에 소위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의 시들, 곧 남녀의 애정이 저속되게 표현된 시들이 있다고 말하며, 이를 민간의 천한 자들이 지은 시로 여겼다.
사무사, 시에는 생각이 사특한 것이 없다라 하는 대전제에서 이러한 남녀상열지사의 시들은 그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주희는 저자의 방향에서 독자의 방향으로 과감히 전환한다. 곧 작자가 나쁜 생각이 없이 지었다는 측면이 아니라 독자로 하여금 당시 풍속의 실체를 드러내 경계를 삼고자 하는 권선징악勸善懲惡의 측면이라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남녀상열지사의 시들을 <시서>에서는 정치적인 풍자와 교화로 풀이하였지만, 주희는 그것이 일반 백성의 일들이며 일상의 일들이 가감없이 노래로 불렸음을 꿰뚫어 보았다. 이는 오히려 시의 핵심을 파악한 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주희는 여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서술하는 <시서> 내용의 경우 남녀의 상하관계를 엄격히 설정하여, 여성의 긍정적 역할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기도 한다. 현재의 시각에서 이러한 주희의 입장을 엄밀히 살펴 보고 비판하는 것 또한 ≪시경≫이 계속하여 시대에 맞게 새로 읽히는 방식일 것이다.

<시서변설>과 <사고전서간명목록>-이 책의 특징

<시서>에 대한 주희의 입장은 <시서변설詩序辨說>에서 가장 잘 드러나며, 그 학문적 가치 또한 크다. 주희의 시경관을 단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지만 우리나라에서 간행한 ≪시전대전≫에는 이를 삭제하였으며, 기존 많은 ≪시경≫ 번역서에도 소개되지 않았다. 본회에서 새로 간행하는 ≪오서오경독본 시경집전≫은 주희의 <시서변설>을 부록하여 주희의 시경관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서변설> 이외에 <사고전서간명목록 시류四庫全書簡明目錄 詩類>도 부록하여 ≪시경≫ 연구에 필요한 역대 주석서들의 간략한 정보를 독자에게 제공하였다. 또한 ≪시경≫의 각 편 마지막에는 ≪시경≫의 시를 전고典故로 한 용어를 용례와 함께 제시하여 ≪시경≫에 나온 용어가 후대에 어떻게 사용되는지 활용을 볼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모시품물도고≫ 등에서 70여 개의 풍부한 도판을 실어 초목, 기물 등 내용의 이해를 돕기 쉽게 하였으며, 역사적 배경과 지리에 대한 설명을 담아 국풍國風과 노송魯頌 앞에 지도 및 세계世系를 수록하였다
이 책을 번역한 박소동朴小東 교수는 난포蘭圃 서한태徐漢泰 선생을 사사師事하였으며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국역연수원과 상임연구부,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명예한학교수 및 이사로 있으며 그 번역에 대한 공훈을 인정받아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기도 하였다. 고전번역원에서 오랫동안 ≪시경≫을 강의하고 ≪모시정의≫를 번역한 바 있는 전문성을 지닌 번역자이다.


목차


ㆍ刊行辭 / 10
ㆍ解 題 / 13
ㆍ凡 例 / 36
詩經集傳 / 41
詩經集傳 卷之一
國風 一
周南 一之一 / 46
關雎(관저) 48
葛覃(갈담) 53
卷耳(권이) 55
?木(규목) 58
?斯(종사) 59
桃夭(도요) 61
兎?(토저) 63
??(부이) 64
漢廣(한광) 66
汝墳(여분) 69
麟之趾(인지지) 71
召南 一之二 / 74
鵲巢(작소) 74
采?(채번) 76
草蟲(초충) 78
采?(채빈) 81
甘棠(감당) 83
行露(행로) 84
羔羊(고양) 87
殷其?(은기뢰) 89
?有梅(표유매) 90
小星(소성) 92
江有?(강유사) 93
野有死?(야유사균) 95
何彼?矣(하피농의) 97
騶虞(추우) 99
詩經集傳 卷之二
? 一之三 / 103
柏舟(백주) 105
綠衣(녹의) 108
燕燕(연연) 111
日月(일월) 113
終風(종풍) 116
擊鼓(격고) 118
凱風(개풍) 121
雄雉(웅치) 124
匏有苦葉(포유고엽) 125
谷風(곡풍) 129
式微(식미) 135
?丘(모구) 136
簡兮(간혜) 139
泉水(천수) 142
北門(북문) 146
北風(북풍) 148
靜女(정녀) 150
新臺(신대) 151
二子乘舟(이자승주) 153
詩經集傳 卷之三
? 一之四 / 156
柏舟(백주) 156
牆有茨(장유자) 158
君子偕老(군자해로) 160
桑中(상중) 163
?之奔奔(순지분분) 166
定之方中(정지방중) 167
??(체동) 171
相鼠(상서) 174
干?(간모) 175
載馳(재치) 177
衛 一之五 / 182
淇奧(기욱) 182
考槃(고반) 185
碩人(석인) 187
氓(맹) 191
竹竿(죽간) 197
?蘭(환란) 199
河廣(하광) 201
伯兮(백혜) 203
有狐(유호) 206
木瓜(모과) 208
詩經集傳 卷之四
王 一之六 / 211
黍離(서리) 212
君子于役(군자우역) 215
君子陽陽(군자양양) 217
揚之水(양지수) 218
中谷有?(중곡유퇴) 221
兎爰(토원) 223
葛?(갈류) 225
采葛(채갈) 227
大車(대거) 229
丘中有麻(구중유마) 230
鄭 一之七 / 232
緇衣(치의) 233
將仲子(장중자) 234
叔于田(숙우전) 236
大叔于田(대숙우전) 238
淸人(청인) 240
羔?(고구) 243
遵大路(준대로) 244
女曰鷄鳴(여왈계명) 245
有女同車(유녀동거) 248
山有扶蘇(산유부소) 249
?兮(탁혜) 251
狡童(교동) 252
?裳(건상) 253
?(봉) 254
東門之?(동문지선) 255
風雨(풍우) 257
子衿(자금) 258
揚之水(양지수) 260
出其東門(출기동문) 261
野有蔓草(야유만초) 263
溱洧(진유) 264

詩經集傳 卷之五
齊 一之八 / 268
鷄鳴(계명) 269
還(선) 270
著(저) 272
東方之日(동방지일) 273
東方未明(동방미명) 274
南山(남산) 276
甫田(보전) 279
盧令(노령) 281
??(폐구) 282
載驅(재구) 283
?嗟(의차) 285
魏 一之九 / 289
葛?(갈구) 290
汾沮?(분저여) 292
園有桃(원유도) 294
陟岵(척호) 296
十畝之間(십무지간) 297
伐檀(벌단) 298
碩鼠(석서) 301
詩經集傳 卷之六
唐 一之十 / 304
??(실솔) 304
山有樞(산유추) 307
揚之水(양지수) 309
椒聊(초료) 311
綢繆(주무) 312
?杜(체두) 314
羔?(고구) 316
?羽(보우) 317
無衣(무의) 319
有?之杜(유체지두) 321
葛生(갈생) 322
采?(채령) 324
秦 一之十一 / 327
車?(거린) 328
駟?(사철) 330
小戎(소융) 331
??(겸가) 336
終南(종남) 338
黃鳥(황조) 340
晨風(신풍) 343
無衣(무의) 345
渭陽(위양) 348
權輿(권여) 350

詩經集傳 卷之七
陳 一之十二 / 353
宛丘(완구) 354
東門之?(동문지분) 356
衡門(횡문) 357
東門之池(동문지지) 359
東門之楊(동문지양) 360
墓門(묘문) 361
防有鵲巢(방유작소) 363
月出(월출) 364
株林(주림) 365
澤陂(택피) 366
檜 一之十三 / 370
羔?(고구) 370
素冠(소관) 371
?有?楚(습유장초) 374
匪風(비풍) 375
曹 一之十四 / 377
??(부유) 378
候人(후인) 379
?鳩(시구) 382
下泉(하천) 385

附 錄
ㆍ《詩經集傳 上》 도판 목록 / 391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