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스마트시티 유형별 추진현황과 기술동향

스마트시티 유형별 추진현황과 기술동향

  • R&D정보센터
  • |
  • 지식산업정보원
  • |
  • 2020-01-07 출간
  • |
  • 610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91158621292
판매가

380,000원

즉시할인가

342,000

카드할인

0원(즉시할인 0%)

적립금

19,000원 적립(5%적립)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추가혜택

네이버페이 무조건 1%적립+ 추가 1%적립

수량
+ -
총주문금액
342,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제 1장 국내외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1. 스마트시티

1) 스마트시티 개념 및 등장 배경

2) 스마트시티 구성요소

3) 키워드 분석 기반 국내외 스마트시티 트렌드 분석

(1) 국내 스마트시티 트렌드 분석 및 결과

(2) 해외 스마트시티 트렌드 분석 및 결과

2. 국내외 스마트시티 제도 및 정책

1) 미국

(1) 미국혁신전략

가. 미국혁신전략의 내용

나. 2015년 〈미국혁신전략〉의 스마트시티 관련 내용

A) 스마트시티 개념과 스마트시티 구축의 비전

B) 도전해야 할 부분

C) 나아갈 길

(2) 스마트시티 이니셔티브

(3) 스마트시티 법안

가. 스마트시티 개념

나. 법의 목적

다. 주요내용 및 특징

2) 일본

(1) 일본의 스마트시티 개념

(2) 일본의 스마트시티 구성 기술과 제도 지원

(3) 국가전략특별구역법 및 구조개혁특별구역법의 규제 샌드박스

가. 일본판 샌드박스 제도 도입과 특징

나. 일본의 국가전략특구 및 샌드 박스 현황

3) 스페인

(1) 스마트시티 도입 현황

가. 스마트시티를 위한 국가계획(Plan Nacional de Ciudades Inteligentes)

나. 스마트시티를 위한 국가계획의 기본구조

다. 스마트시티를 위한 국가계획의 목표 및 세부 활동

(2) 스마트시티 정책 및 법제 현황

가. 스마트시티 모델 발표

나. 스마트시티 모델의 기본 축으로서 표준화

다. 스페인 기술표준화위원회 AEN/CTN 178

A) 스페인 기술표준화위원회 AEN/CTN 178 개요

B) 기술표준화위원회 AFN/CTN 178의 구조와 구성

4) 프랑스

(1) 2016년 10월 7일의 법률(Loi Lemaire)

(2) 2015년 녹색성장을 위한 에너지전환법률

5) 영국

(1) 스마트시티 도입 현황

가. 스마트시티 추진의 필요성

나. 영국에서의 스마트시티의 정책적 유인

(2) 스마트시티 정책 및 법제 현황

가. 스마트시티 관련 영국 정부의 정책 방향 원칙

나. 영국 스마트시티의 지도 원리(Guiding Principles)

다. 영국 내 스마트시티 관련 정책 추진 방향성: 기준 확보를 통한 정책 방향 유인

라. 영국의 스마트시티 관련 정책 특징

6) 독일

(1) 독일에서의 스마트시티 개념

가. 스마트시티의 개념적 접근

나. 스마트시티의 목표

다. 독일의 스마트시티 구현 노력

(2) 스마트시티 정책 및 법제 현황

가. 연방의회(Bundestag)에서의 논의

나. 스마트시티 헌장(Smart City Charta)

7) 중국

8) 인도

9) 싱가포르

10) 국내

(1) 스마트시티 정책 전개방향

(2) 스마트시티 주요정책 현황

가. 국토교통부

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다. 산업통상자원부

라. 행정안전부

마. 환경부

바. 보건복지부

사. 문화체육관광부

(3) 제3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2019-2023)

가. 중장기 정책 추진방향

나. 추진과제

A) 도시 성장 단계별 맞춤형 스마트시티 모델 조성

B) 스마트시티 확산 기반 구축

C) 스마트시티 혁신 생태계 조성

11) 국내외 시사점

3.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방안

1) 해외진출 현황 및 평가

(1) 해외진출 현황 분석

가. 신도시 개발 중심의 패키지형 도시 수출

나. H/W 중심의 스마트시티 솔루션 수출

(2) 해외수주 여건 평가

가. 한국은 도시개발 경험과 우수 ICT 기술을 보유

나. 지원시스템 미비로 해외수주 실적 제고에 한계

2)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 구축(안)

(1) 수출모델

(2) 솔루션

(3) 거버넌스

3)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

(1) 해외수주 금융지원 강화

가. PIS 펀드 5천억원 내외를 스마트시티에 투자

나. PIS 펀드의 스마트시티 지원가능성 제고

다. 스마트시티 대?중소기업 동반진출 지원 프로그램 신설

라. 무보 특별계정 신설

마. 경협증진자금을 통한 글로벌 프로젝트 활성화

(2) 스마트시티 네트워크 구축

가. 한국 주도의 글로벌 스마트시티 네트워크 구축

나. 시장개척자금 지원 확대

다. 국가별 통합정보 DB 구축

라. 스마트시티 초청연수 확대

마. 주요 대상국에 스마트시티 글로벌 협력거점 설치

바. WB, IDB 등 국제기구 네트워크 강화

(3) 대?중소기업 동반진출 지원

가. Inbound 마케팅 지원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 신규 개최

나. Outbound 마케팅 지원 컨소시엄 구성 및 로드쇼 개최

다. 스마트시티 얼라이언스를 통한 동반진출 기반 구축

라. 대상 국가별 차별화된 진출전략 마련

(4) 전방위 수주노력 강화 - Team Korea

가. Team Korea* 스마트시티 수주 지원 강화

나. 범정부 스마트시티 수주지원체계 구축

다.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지원을 위한 KSP 전용트랙 도입

라. 주요국과 스마트시티 G2G 협력 강화

마. 스마트시티 민간 대외협력관 임명

 

제 2장 스마트시티 기술별 사례분석

 

1. 국내외 스마트시티 사례

1) 국내 스마트시티 구축사례 및 프로젝트

(1) 인천 송도 스마트시티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2) 세종특별자치시

(3) 부산광역시

(4) 고양시 사물인터넷 융복합 시범단지 조성사업

2) 해외 스마트시티 구축사례 및 프로젝트

(1) 미국 스마트시티 챌린지 프로젝트

(2) 비엔나 프레임워크 전략

(3) 밴쿠버 녹색도시

(4) 대만 민성지역 리빙랩

(5) 일본 요코하마 스마트시티

2. 국내외 스마트시티 추진동향

1) 국내 스마트시티 추진동향 변화

(1) U-City 시사점

(2) 지자체 스마트시티 추진동향

가. 지자체 스마트시티 추진현황

나. 지자체 스마트시티 추진 시사점

다. 스마트시티 체질 개선

2) 국외 대륙별 스마트시티 추진동향 변화

(1) 유럽 스마트시티

가. 바르셀로나 시

A) 바르셀로나의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의 전략적 이니셔티브와 주요 프로그램들

B) 바르셀로나의 22@ 혁신지구(Discricte dela innovaci?)

나. 리옹 시

A) RENAISSANCE

B) NEXT-BUILDINGS

C) TRANSFORM

D) SMARTER TOGETHER 프로젝트

다. 런던 시

A) 스마트 런던 플랜(Smart London Plan)의 배경

B) 스마트 런던 플랜의 주요 내용

라. 드레스덴, 뮌헨, 함부르크 시

A) 드레스덴(Dresden)

B) 뮌헨(M?chen)

C) 함부르크(Hamburg)

(2) 북미 스마트시티

(3) 남미 스마트시티

(4) 아시아 스마트시티

(5) 오세아니아 스마트시티

(6)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3. 스마트시티 기술적 솔루션분석

1) 교통 분야

(1) 실시간 신호제어 시스템

(2) 스마트 톨링 시스템

(3) 버스정보시스템

(4) 스마트 주차시스템

2) 에너지 분야

(1)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2)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3) 지능형 가로등

3) 환경 분야

(1) 스마트 워터그리드

(2) 스마트 수목관리

(3) 스마트 대기오염관리

(4) 스마트 쓰레기 관리

4) 방범·안전 분야

(1) 지능형 방범서비스

(2) 스마트 라이프라인

(3) 스마트 재난안전 시스템

5) 산업?경제 분야

(1) 물류

(2) 산업

(3) 농업

6) 생활?복지 분야

(1) 스마트 건물관리

(2) 스마트 홈

(3) 스마트 헬스케어

(4) 스마트 교육

(5) 전자정부

7) 국외 스마트시티 조성노력

(1) 암스테르담

(2) 글래스고

(3) 칼라사타마

가. 추진배경 및 목적

(4) 스마트산탄데르

(5) 니스

(6) 산호세

(7) 탈린밸리

(8) 파리

(9) 아마라바티

4. 스마트시티 기술 표준화/특허 분석

1) 국내외 표준화 현황

(1) 스마트시티 표준

(2) 국제 표준화 동향

가. ISO/IEC JTC 1/WG 11(Smart Cities)

나. IEC SyC Smart Cities

다. ISO TC268(Sustainable cities and communities)

라. ITU-T SG 20 (IoT and smart cities and communities)

(3) 국내 표준화 동향

가. 국토교통부

나. 국가기술표준원

다. 과기정통부

라. 국내 표준화 기구별 대응 체계

(4) 기술별 표준화 현황 및 전망

가. 인프라 기술

A) 국내

B) 해외

나. 플랫폼 기술

A) 국내

B) 해외

다. 서비스 기술

A) 국내

B) 해외

2) 오픈소스 현황 및 전망

(1) OCEAN

(2) OS-IoT

(3) FIWARE

(4) IoTivity

3) 스마트시티 특허분석

(1) 개요

(2) 특허 출원년도별 동향

(3) 국내 특허 출원 현황

(4) 해외 특허 출원 현황

 

제 3장 인프라 구축형 스마트시티 동향

 

1. 유형별 스마트시티 전략

1) 현황 및 분석 기반의 스마트시티 전략 기본 방향

2) 국내 스마트시티 유형 분석

(1) 전체 유형 결과

(2) 첨단 인프라 구축형

(3) 플랫폼 연계 중심형

(4) 혁신공간 창출형

2. 인프라 구축형 스마트시티

1) 인프라 구축형 스마트시티 전략

(1) 전략 1: 첨단 인프라의 기존도시 점진적 확산 추진

(2) 전략 2: 기반시설 조성비 활용의 유연성 확보

2) 도시재생과 디지털기술혁신

(1) 도시재생의 배경

(2) 도시재생의 개념

(3) 스마트 도시재생의 개념

(4) 스마트 도시재생의 중요성 부상

3) 스마트 도시재생 사례

(1) 경제기반형 스마트 도시재생 사례

가. 부산 U-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과 마을지도

(2) 근린재생형 스마트 도시재생 사례

가. 호주 시드니, 리전하우스(Legion House)

나. 유럽, 자전거공영시스템

다. 스페인, 스마트 주차 시스템

라. 스마트 쓰레기통

마. 스페인, 버스 시스템

바. 핀란드, Climate Street 프로젝트

사.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지능형’ 조명 시스템

(3) 스마트시티형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

가. 남양주

나. 포항

A) 비전

B) 목표

C) 스마트 서비스

다. 부산

(4) 도시재생 추진 현황

가. 전주시 스마트시티 조성

A) 지속성장 가능 전주형 스마트시티

B) 한국국토정보공사와 스마트시티 공동사업 추진 예정

나. 완주군 스마트시티 조성

A) 첨단 지능형 스마트시티 통합서비스 구축

B) U-City 통합플랫폼

C) CCTV 통합관제센터

D) 사업추진 성과

다. 완주군 삼봉지구 스마트시티 서비스 기술

A) 교통 분야

B) 방범/안전 분야

C) 에너지 분야

D) 정보접근 강화(통신복지) 분야

E) 환경대응 분야

(5) 도시재생 뉴딜사업 추진

가. 도시재생 뉴딜시범사업(2017년) 선정

나. 사업대상지별 단위사업 내용

3. 도시재생 뉴딜 추진방향

1) 도시재생 뉴딜의 추진배경

(1)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 검토배경

가. 도시재생 뉴딜정책의 의의 및 목표

나. 로드맵의 필요성

(2) 정책 여건 분석

가. 국내의 정책 여건 분석

나. 도시의 실태 분석

A) 지방 위기 확대와 물리적 정주환경 악화

B) 지역 간 일자리, 주거환경 양극화 확대

다. 선진국의 도시재생 정책

(3) 그 간의 도시재생 정책 성과와 한계

가. 그 간의 추진경과 및 성과

A) `70~`00년대: 신도시 개발 및 주거지 전면 정비

B) `10년대: 도시재생의 기반 마련

나. 그 간 정책의 한계 및 시사점

A) 전면철거형 사업으로 영세 주민의 내몰림 현상 초래

B) 주민 체감도가 낮고 정부지원 부족

C) 공동체 활성화 및 부처협업 미흡

2) 도시재생 뉴딜의 추진방향

(1) 도시재생 뉴딜의 3大 추진전략

(2) 도시재생 뉴딜의 5大 추진과제

가. 노후 저층주거지 정비 →삶의 질 향상

나. 구도심을 혁신거점으로 조성 →도시활력 회복

다. 지역의 도시재생 경제 생태계 활성화 →일자리 창출

라. 도시재생 거버넌스 활성화 →공동체 회복

마. 상가 내몰림 현상에 선제적 대응 →사회 통합

3)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의 추진과제

(1) 노후 저층주거지를 쾌적한 주거환경으로 정비

가. 노후 주거지 정비 방향

나. 선진국 수준의 기초 생활인프라 공급

A) 기초 생활인프라 공급기반 마련

B) 지역 주도의 기초 생활인프라 공급

다. 노후주거지 정비 활성화

A)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에 대한 공공지원 강화

B) ?마을관리 협동조합?을 통한 주거지 관리

C) 빈집정비 활성화

라. 주거 젠트리피케이션 부작용 완화 및 공적임대주택 공급

A) 기존 거주자의 내몰림(주거 젠트리피케이션) 부작용 완화

B) 도시재생과 연계한 공적임대주택 공급

(2) 구도심을 혁신거점으로 조성

가. 컴팩트 네트워크 도시 구축

나. 복합기능의 혁신공간 조성

A) 도시재생어울림 플랫폼 공급

B) 도시재생 첨단산업공간 조성

C) 유휴 공간 및 시설을 재생거점으로 활용 지원

D) 노후산단 연계형 뉴딜사업 실시

다. 지역 특화재생 프로그램 지원

A) 대학타운형 도시재생 뉴딜사업

B) 역사?문화가 살아나는 뉴딜 프로그램 추진

C) 경관이 살아나는 뉴딜 프로그램 추진

D) 지역상권이 살아나는 뉴딜 프로그램 추진

E) 여성친화형 도시재생 뉴딜사업

F) 농촌 지역 특화발전 지원

G) 도시재난 적응체계 구축

라. 스마트 시티형 도시재생 뉴딜 활성화

(3) 지역 기반의 도시재생 경제 생태계 조성

가. 도시재생 경제조직 활성화 지원

A) ?뉴딜형 청년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 도입

B) ?터 새로이 사업? 도입

C) 도시재생 경제조직 육성

D) 사회적 금융, 모태펀드 등을 통한 자금 지원

나. 민간참여 모델 마련

A) 리츠 활성화

B) 민관협력(PPP) 방식 도입

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자리 창출 관리

(4) 풀뿌리 도시재생 거버넌스 구축

가. 지역의 도시재생 역량 강화

A) 도시재생대학 중심의 지역주도 교육체계 확립

B) 주체별?사업유형별 맞춤형 교육 실시

나. 지역 주민의 참여 기반 조성

A) 소규모 재생사업 추진: 연간 50곳 이상

B) ‘주민참여 프로젝트 팀’ 구성?운영

다. 지역의 도시재생 거버넌스 체계 구축

A) 주민주도 조직 활성화

B) 도시재생지원센터 활성화

C) 광역지자체 거버넌스 지원

(5) 상가 내몰림 현상(상가 젠트리피케이션 부작용) 대응

가. 상가 젠트리피케이션 동향 모니터링 체계 구축

나. 도시재생지역 상가 내몰림 현상에 집중 대응

A) 상생협약 체결 활성화 지원

B) 임대료 안정공간(공공임대상가) 공급

C) 재생이익의 선순환 유도

다. 사회적 규제 합리화

4) 주요과제 실천을 위한 기반 구축

(1) 지역 주도의 뉴딜사업 추진

가. 단계별 뉴딜사업 추진 전략

나. 지역 주도의 맞춤형 뉴딜사업 선정

A) 선정 방향

B) 사업 규모

C) 선정 방식

다. 뉴딜사업 관리체계 구축

A) 국비 지원 전 사업 타당성 평가

B) 사업시행 및 관리체계 확립

(2) 법?제도 정비

가.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도시재생법) 정비

A) 도시재생 특별구역 도입

B) 도시재생사업 인정제도 도입

C) 도시재생 활성화계획 정비

D) 도시재생 전략계획 정비

E) 재생활성화계획 유형 및 재생활성화 지역 지정기준 개선

나. 도시재생 종합정보체계(www.city.go.kr) 고도화

(3) 공적재원의 효율적 운용

가. 정부재정 투입 방안: 연 평균 2조원 수준

A) 재정 투입계획

B) 각 부처의 도시재생 관련 사업 연계

나. 주택도시기금 지원 방안: 연 평균 4.9조원 수준

A) 주택도시기금 지원 계획

B) 주택도시기금 지원 확대

C) 민간 플랫폼을 활용한 금융지원 모델 구축

D) 지자체 중심의 금융지원 체계 구축

다. 공기업 투자 유도: 연 평균 최대 3조원 수준

A) 공기업의 역할 확립

B) 공기업의 뉴딜사업 참여 활성화

C) 지방공기업의 참여 확대

4. 스마트시티 인프라구축을 위한 차세대 첨단교통체계 현황

1) 스마트시티를 위한 차세대 첨단교통체계의 효율적 도입

(1) 스마트시티와 미래교통 시스템의 중요성

(2) 스마트시티를 위한 첨단교통체계의 추진현황

(3) 스마트시티를 위한 C-ITS 도입 방안

가. 정부주도의 단말기 보급 정책 필요

나. 스마트시티 시스템과 융·복합을 통한 C-ITS 효과 극대화

다. 도시 특성을 반영한 서비스 및 구현방안 개발

2) 국내외 스마트시티 및 스마트시티 교통서비스 현황분석

(1) 국내 스마트시티 교통서비스

가. 자율주행셔틀 서비스

나. 스마트주차 서비스

다.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

라. 스마트 가로등 서비스

마. 스마트 횡단보도 서비스

(2) 국외 스마트시티 교통서비스

가. 자율주행셔틀 서비스

나.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

다. 스마트 주차 서비스

라.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

3) 시민체감 스마트시티 교통서비스

(1) ITS, u-City 및 스마트시티 교통서비스 구축사례 분석

 

제 4장 플랫폼 중심형 스마트시티 주요동향(1)

 

1. 플랫폼 중심형 스마트시티

1) 플랫폼시티

(1) 플랫폼

(2) 플랫폼 등장배경

(3) 플랫폼 성공요소

(4) 플랫폼으로서의 도시

2) 플랫폼 중심형 스마트시티 전략

(1) 전략 1: 도시통합운영센터의 전문성 강화 및 지역적 연계 확산

(2) 전략 2: 민간 데이터와 연계 방안 모색

3) 스마트시티 플랫폼

(1) 개요

(2) 스마트시티 플랫폼의 중요성

(3) 국내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4) 스마트시티 플랫폼 표준화 동향

4) 국내외 플랫폼 시티 동향

(1) 해외 현황 및 사례

가. 해외 현황

나. 해외 사례

A) 싱가포르

B) 런던

(2) 국내 현황 및 사례

가. 국내 현황

나. 국내 사례

A) 부산 해운대

B) 대구/경기 시흥

C) IFEZ 스마트시티

(3) 스마트시티 플랫폼의 이슈 및 발전방향

2. 스마트시티 서비스 통신망 연계활용 동향

1) 통신망 연계활용의 중요성

2) 지자체 자가망과 통신사 임대망 운영의 애로사항

3) 자가망 연계활용과 통합플랫폼의 확산 과정

(1) 통합플랫폼 개발과 자가망 연계의 부분적 허용

(2) 자가망 연계 허용 후 통합플랫폼의 본격 보급사업 추진

(3) 통합플랫폼의 IDC 수상과 통합플랫폼의 전국적 확산

(4) 지자체의 자가망 연계 분야 확대 요구와 관련 고시 추가 개정

4) 스마트시티 활성화를 위한 통신제도 개선방향

3. 스마트시티 지능형 영상보안/방범·방재기술 주요동향

1) 스마트시티 재해·재난 대비 기술동향

(1) 배경 및 목적

(2) 도시문제 해결의 패러다임 전환

(3) 스마트시티 구현을 통한 도시 재해·재난 예방

가. 도시 물문제의 새로운 비전 스마트워터 (Smart-water)

A) 강우예측 및 도시 물 재해 대응시스템

B) 자연친화적 LID(Low Impact Development) 기법

C) Smart Water Management(SWM)

나. 시민의 삶에 가치를 더하는 스마트 안전(Smart-safety)

A) 지능형 도시 모니터링 체계 구축

B) 사건 사고 발생 시 비상대응 최적화

2) 지능형 영상보안 기술 주요동향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3) 환경 분석

가. 산업 환경 분석

A) 산업 특징

B) 산업 구조

나. 시장 환경 분석

A) 해외시장

B) 국내시장

(4)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나. 국외 주요 지능형 CCTV 개발 현황

A) MS사 DAS시스템

B) IBM의 IOC 솔루션

C) NGI(Next Generation Identification) 시스템

다. 국내 주요 지능형 CCTV 개발 현황

(5) 국내외 지능형 CCTV 활용사례

가. 해외

나. 국내

A) 돌발 상황

B) 화재 감지

C) 문화재 화재 감시

D) 테트라포드 사고 예방

E) 터널 유고 감시 시스템

다. 스마트시티 연계 CCTV

A) 통합관제센터 운영

B) 통합관제센터 운영 방식

C) 서울 스마트도시 안전망 구축(추진중)

D) 관악구 CCTV 고도화

E) 서울특별시 은평구 “은평 u-City 관제센터”

F) 경기도 고양시 “입체 모니터링 스마트 관제시스템”

G) 경기도 안양시 “안전귀가 서비스 앱”

H) 전북 김제시 특이차량 위치 알림이 시스템

I)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능형 CCTV 설치효과 극대화

(6) 지능형 화재안전 대응 시스템 관련 특허동향

가. 지능형 화재안전 대응 시스템 관련 특허동향 분석

A) 지능형 화재안전 대응 시스템 특허 상 주요 기술

나. 주요 기술별 출원인 동향

A) 영상 화재감시 기술 주요 출원인 동향

B) 센서 화재감시 기술 주요 출원인 동향

C) 모니터링 기술 주요 출원인 동향

D) 화재대응 기술 주요 출원인 동향

다. 지능형 화재안전 대응 시스템 분야의 주요 경쟁기술 및 공백기술

라. 최신 국내 특허기술 동향

(7) 전방위 촬상 광학계 기술 분야 특허동향

가. 주요 기술별 국가별 특허동향

나. 주요 기술별 출원인 동향

다. 국가별 특허활동지수(AI) 비교

라. 전방위 촬상 광학계 기술 분야의 주요 경쟁기술 및 공백기술

마. 최신 국내 특허기술 동향

(8) 재난재해 감지를 위한 지능형 CCTV 시험·인증 체계

가. 배경 및 목적

나. 해외 지능형 CCTV 시험ㆍ인증 현황

A) 영국 인증제도

B) 미국 UCF Crime Database

C) 중국

다. 국내 지능형 CCTV 시험ㆍ인증 현황

A) 분야별 시험·인증 항목

B) 인증 현황

라. 재난재해 감지용 시험·인증 체계 구축 방안

A) 시나리오 정의

B) 검증용 실측정보 정의

C) 영상 DB 구축

3) 3차원 위험시설물 감시 관리기능 송수신 장치 개발동향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A) IoT / 빅데이터 기술

B) 인공지능을 활용한 CCTV 영상감시

(3) 환경 분석

가. 산업 환경 분석

A) 산업의 특징

B) 산업의 구조

나. 시장환경 분석

(4)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A) 기술개발트렌드

B) 기술환경분석

나. 주요기업 동향

A) 해외기업동향

B) 국내기업동향

(5) 특허 동향

가. 주요 기술

나. 세부 분야별 특허동향

A) 주요 기술별 출원인 국적별 특허동향

B) 주요 기술별 출원인 동향

다. 국가별 특허활동지수(AI) 비교

라. 3차원 위험시설물 감시 관리기능 송수신 장치의 주요 경쟁기술 및 공백기술

마. 최신 국내 특허기술 동향

 

제 5장 플랫폼 중심형 스마트시티 주요동향(2)

 

1.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기술 활용동향

1) 디지털 트윈의 기술 및 산업응용

(1) 디지털 트윈

(2) 디지털 트윈의 핵심기술, 모델링 시뮬레이션(M&S)

(3) 디지털 트윈의 산업 응용

2) 디지털 트윈 기술발전의 주요이슈

(1) M&S 및 디지털 트윈 연관 이슈

(2) 디지털 트윈 운영환경 및 개발지원 도구

(3) 디지털 모델링 방법의 발전 필요성

3) 국내외 동향 및 전망

(1) 세계 디지털 트윈 시장 전망

(2) 디지털 트윈 기술시장 동향

(3) 디지털 트윈 플랫폼/도구

4) 디지털 트윈 공간(DTS) 구축 전략

(1) 미래 공간정보 발전 전망

가. 인문학적 관점

나. 공간데이터 관점

다. ICT와 공간정보 융합 관점

(2) 디지털 트윈 공간의 개념모델과 기대효과

가. Digital Twin Space(DTS)의 개념모델

나. DTS의 미래사회 기여효과

(3) 디지털 트윈 공간 추진전략

가. DTS 추진을 위한 ‘DTS 452’ 전략

나. DTS 성공을 위한 정책방안

다. DTS 추진 로드맵(예시)

5) 스마트시티 디지털트윈 적용방안

(1) 스마트시티에 대한 기대

(2) 스마트시티에서 디지털트윈의 역할

가. 디지털트윈의 역할

나. 스마트시티 분야에서 디지털트윈의 역할

(3) 스마트시티에 디지털트윈 적용 시 고려사항

가. 도시문제의 복합성

나. 기술과 제도를 함께 고려

다.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

(4) 디지털트윈 적용을 위한 정책방안

2. 스마트시티 구축 및 운영관리시스템

3. 스마트시티 에너지 기술실증 및 개발동향

1) 스마트 에너지 인프라 구축

(1) 통합관제센터(단계 : 단기개선)

가. 개요

A) 정의 및 기능

B) 기능

C) 필요성

D) 구성

E) 기대효과

나. 통합관제센터 기술

A) 국내 기술 동향

B) 국외 기술 동향

C) 국내 기술 수준 : 선진국 대비 80 %

D) 기술 표준

E) 기술 실증 및 개발 목표

다. 단계별 실증 방안

라. 활성화 및 구축 후 활용 방안

A) 활성화 방안

B) 구축 후 활용 방안

(2) 에너지 통합검침(단계 : 상용화)

가. 개요

A) 정의 및 기능

B) 기능

C) 필요성

D) 구성

E) 기대효과

나. 에너지 통합검침 기술

A) 국내 기술 동향

B) 국외 기술 동향

C) 국내외 기술 수준

D) 적용 기술 표준

E) 기술 적용 목표 및 구분

다. 단계별 적용 방안

A) 구성 범위

B) 적용 대상

C) 적용 방법

D) 적용 시기

E) 관련 법·제도

라. 활성화 및 구축 후 활용 방안

A) 활성화 방안

B) 구축 후 활용 방안

(3) 스마트 변동요금제(단계 : 단기개선)

가. 개요

A) 정의 및 기능

B) 현황

C) 필요성

D) 구성

나. 스마트 변동 요금제 세부사항

A) 계시별 요금제(TOU : Time-of-Use Pricing)

B) 최대부하 요금제(CPP : Critical Peak Pricing)

C) 최대부하 리베이트 요금제(CPR : Critical Peak Rebates)

D) 실시간 요금제(RTP : Real Time Pricing)

다. 단계별 실증 및 개발 방안

라. 활성화 및 구축 후 활용 방안

2) 스마트 에너지 Life 구현

(1) 가상발전소(단계 : 단기개선)

가. 개요

A) 정의

B) 기능

C) 필요성

D) 구성

E) 기대효과

나. VPP(가상발전소) 기술

A) 국내 기술 동향

B) 국외 기술 동향

다. 단계별 실증 방안

라. 활성화 및 구축 후 활용 방안

A) 활성화 방안

B) 구축 후 활용 방안

(2) 전력 P2P(단계 : 단기개선)

가. 개요

A) 정의 및 기능

B) 기능

C) 필요성

D) 구성

나. 전력 P2P 기술

A) 국내 기술 동향

B) 국외 기술 동향

C) 국내외 기술 수준

다. 단계별 실증 방안

라. 활성화 및 구축 후 활용 방안

A) 활성화 방안

B) 구축 후 활용 방안

(3) 피크관리 IoT 가전(단계 : 단기개선)

가. 개요

A) 정의 및 기능

B) 필요성

C) 구성

나. 피크관리 IoT 가전(국민DR) 기술

A) 국내 기술 동향

B) 국외 기술 동향

C) 국내 기술 수준 : 선진국 대비 80 %

D) 기술 표준

E) 기술 실증 및 개발 목표

다. 단계별 실증 방안

4. 스마트시티 환경관련 기술 주요동향

1) 미세먼지 상세오염도 정보제공 플랫폼

(1) 범위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2) 산업환경 분석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3)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A) 기술개발트렌드

B) 기술환경분석

나. 주요기업 동향

A) 해외기업동향

B) 국내기업동향

(4) 특허 동향

가. 주요 기술

나. 세부 분야별 특허동향

A) 주요 기술별 출원인 국적별 특허동향

B) 주요 기술별 출원인 동향

다. 국가별 특허활동지수(AI) 비교

라. 도심 내 미세먼지 상세 오염도 정보제공 플랫폼 기술 분야의 주요 경쟁기술 및 공백기술

마. 최신 국내 특허기술 동향

2) 친환경 빗물정화 및 재이용 장치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제품분류 관점

나. 공급망 관점

(3) 산업환경 분석

가. 산업의 특징

나. 산업의 구조

(4)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트렌드

A) 빗물 정화 및 재이용 관련 동향

B) 빗물 이용 시설

C) 빗물 이용 시설 설계 사례 및 상용 모형

D) 첨단센서 및 USN기반 등의 스마트 물산업 기술

나. 주요기업 동향

A) 해외기업동향

B) 국내업체동향

(5) 특허 동향

가. 주요 기술

나. 세부 분야별 특허동향

A) 주요 기술별 출원인 국적별 특허동향

B) 주요 기술별 출원인 동향

다. 국가별 특허활동지수(AI) 비교

라. 친환경 빗물정화 및 재이용의 주요 경쟁기술 및 공백기술

마. 최신 국내 특허기술 동향

 

제 6장 혁신공간 창출형 스마트시티 동향과 전략

 

1. 혁신공간 창출형 스마트시티

1) 혁신공간 창출형 스마트시티 전략

(1) 전략 1: 실질적 규제 샌드박스의 도입

(2) 전략 2: 실증기반의 사업 추진

(3) 전략 3: 해외 진출 지원

2) Data-Driven 스마트 시티

(1) Data-Driven 스마트 시티 정의

(2) Data-Driven 스마트 시티의 세부 운영

(3) 스마트 시티의 규모 전망

(4) Data-Driven 스마트 시티의 구축을 위한 중점 기술

(5) Data-Driven 스마트 시티 프레임웍(Framework)

(6) 이해관계자의 자발적, 점증?지속적 참여를 위한 거래구조 모델링 기반, 리빙랩

(7) 스마트 시티를 위한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및 보안 기술

2. 스마트시티 Living Lab 사례분석과 한국형 모델설정

1) Living Lab

(1) Living Lab 개념과 ENoLL

가. ENoLL

나. Living Lab 개념

다. Living Lab 구조와 구성요소

라. Living Lab 프로세스와 성공요건

(2) Living Lab 관련 개념

가. 도시리빙랩(Urban Living Lab)

나. 도시실험실(Urban Laboratories, Urban Experiment)

다. 도시전환랩(Urban Transition Lab)

라. 실생활랩(Real-world Lab, RwLs)

마. 디자인 씽킹(Design-thinking)

2) Living Lab 국내외 사례

(1) 주요 사례(해외)

가. 암스테르담 스마트시티

나. Forum Virium Helsinki

다. 덴마크 DOLL

라. 22@Barcelona

마. Tokyo Living Lab(LLT)

바. CASA Dallas Fort Worth Living Lab for Severe Weather(CASA WX)

(2) 주요 사례(국내)

가. 대전 건너유 프로젝트

나. 성대골 에너지 리빙랩

다. 북촌 IoT 리빙랩

라. 성남고령친화체험관 한국시니어리빙랩

마. 용인 동천 S-타운

바. LH 행복도시 리빙랩

3) 스마트시티 Living Lab 전략과제

(1) 스마트시티 Living Lab 네트워크 구축

가. 국내 Living Lab 네트워크 구축 및 플랫폼형 Living Lab 운영

나. Living Lab 국제 협력

(2) 스마트 리서치 파크

가. 검토배경

나. 스마트 리서치 파크 구축 및 운영방안

4) 시민기반 스마트시티 유형 및 역할분석

(1) 스마트시티의 시민참여 프레임

(2) 시민참여의 유형 및 역할 분석

가. ICT 사용자로서의 시민

A) 인프라

B) 개방형 데이터

나. 공동창작자로서의 시민

A) 직접적인 상호관계

B) 리빙랩

C) 온라인 플랫폼

다. 민주주의 참여자로서의 시민

A) 시민 선택

B) 스마트시티 전략 목표에 대한 합의

C) 참여 활동과 목표 달성 간의 상호관계

5) 데이터기반 시민교감형 스마트시티 모델

(1) 데이터기반 시민교감형 스마트서비스

가. 피드백 데이터 수집

나. 시민들의 제안 데이터 수집 및 반영

A) 로스앤젤레스: LA GeoHub

B) LA 시민을 위한 오픈 데이터 플랫폼

C) LA시 공무원을 위한 City’s Web GIS Platform

D) 바르셀로나 : PMU

E) PMU 효과

다. 시민교감을 위한 데이터 지원

A) 암스테르담 : amSMARTerdam CITY

B) 뉴욕시의 MODA(Mayor’s Office of Data Analytics)

(2) 시민참여기반 스마트시티 모델(안) 적용

가. 스마트시티 통합교통서비스 적용

A) 통합교통서비스(MaaS) 개요

B) 국내 적용 한계점

C) 적용 방안

나. 도심부 공원연계성 강화

A) 도심부 공원연계 문제점

B) 적용방안

6) 지속가능한 결과를 위한 공공데이터 관리 및 공공서비스 제공

(1) 지속가능한 공공데이터 정책 구현을 위한 구조화된 계획 정의

가. 정부의 공공데이터 기본정책, 전략 및 실행계획

나. 기관 차원의 공공데이터 정책 및 전략

(2) 지속가능성과 연속성을 위한 성공요인으로써 적합한 조직체계 확립

가. 담당기관 설립

A) 공공데이터 책임기관의 존재

B) 공공데이터 책임기관의 정부 내 위치

C) 공공데이터 책임기관 설립의 영속성

나. 리더십 확보 : 최고 데이터책임자(CDO, Chief of Data Officer)의 역할

다. 공공부문의 성숙도 제고 : 공공기관 데이터관리자의 역할

라. 관리자 네트워크 구축 및 교류 : 집단위원회(Collective bodies)의 역할

(3) 공공데이터가 가져다 줄 수 있는 혁신

가. 일반시민의 경험 향상

나. 능력을 갖춘 차세대 공무원 양성

다. 공공 조달 혁신

라. 공공데이터 개방을 통해 발전하는 공공부문 내부 조직의 원동력

마. 새로운 정부 및 사회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한 예측 데이터 분석

바. 정책수립 및 공공서비스 제공에 대한 집단적 학습, 집단 지성 및 시민참여 활성화

(4) 조직 문화의 변화 촉진

가. 데이터 활용 역량 구축

나. “open by default”가 희망하는 문화적 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가?

A) “open by default” vs “publish with purpose”

다. 성과 전달 및 측정 기능 개선

3.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주요이슈 및 구축방향

1) 거버넌스 관점에서 본 스마트시티 주요 이슈

2) 거버넌스 관점에서의 스마트시티 한계

(1) 중앙부처 간 협업부족

(2) 중앙정부, 도시지자체 간 거버넌스 구축체계 부재

3)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해외사례

(1) 싱가포르

(2) 덴마크

(3) 바르셀로나

4) 스마트시티 거버넌스와 도시서비스

5)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구축방향과 주요 관점

(1)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추진방향

(2)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실현을 위한 주요관점

(3) 스마트시티와 시민참여형 의사결정 거버넌스

(4) 공공기관의 도시공공서비스를 공급자격 및 근거

(5) 도시관리의 전문화·고도화: 일본 UR도시기구 사업영역과 리모델링

(6) Living-Lab중심의 시민참여형 의사결정 거버넌스

 

통계(도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