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서양철학의 한계를 딛고 한국자생철학을 선도하다-김형효·8 추천사|박정진의 철학, 인류 미래의 철학이 될 것-공종원·10 머리말|사이보그시대 인간을 어떻게 구원할 것인가·15 제1장|철학인류학의 성립·23 1. 인류학적 철학, 철학인류학의 태도·25 2. 인간인식의 이원구조와 철학의 이원대립·32 3. 현상학—신(God), 정신(Geist), 유령(Ghost)·55 4. 도가도(道可道)에서 무시무종(無始無終)까지·105 제2장|서양철학의 계보학과 동서철학의 특징·127 1. 서양철학의계보학—현상과 과학을 위한 철학·129 2. 시(詩)철학으로서의 동양철학—상징과 예술과 도덕을 위한 철학·172 3. 동서양 문화와 철학의 상호보완성—존재를 위한 철학·183 4. 하이데거는 왜 일반성의 철학에 이르지 못했을까·202 5. 니체와 하이데거, 그리고 불교적 존재론·261 제3장|동서철학과 종교의 소통·289 1. 동서철학과 종교의 상호소통과 미래·291 2. 존재론의 미래로서의 네오샤머니즘·319 | | 제4장|『천부경』의 현상학과 존재론·345 1. 천지인의 순환론과 현상학의 원환(환원과 회귀)—존재론과 현상학의 화해로서의 샤머니즘·347 2. 『천부경』의 존재론과 현상학·354 3. 천지중인간(天地中人間), 인중천지일(人中天地一) ·361 제5장|인간이란 무엇인가—자기-내-존재로서의 인간·381 1. 철학적 인간학 대 인류학적 철학·383 2. 네오샤머니즘의 현대적 해석·399 제6장|언어문화와 철학—인도유럽어문화권·한자문화권·한글문화권·445 1. 박동환의 삼표론에 대한 반론·454 2. 샤머니즘과 철학의 불임증에 대하여·482 3. 무(無)의 철학으로서 신체적 존재론·499 제7장|존재론, 여성성, 그리고 네오샤머니즘·521 1. 존재론, 여성성, 그리고 무당·523 2. 한국철학의 완성으로서의 평화철학—일반성의 철학, 소리철학, 평화철학·541 3. 여성은 정령적 존재, 평화적 존재·574 제8장|결론: 철학의 미래와 네오샤머니즘·589 발문| 인류평화의철학 네오샤머니즘-진형준·616 연보| 심중(心中) 박정진(朴正鎭) 연보·6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