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주목 1 - 살아 천년 죽어 천년, 만농 심성보 한시 역집

주목 1 - 살아 천년 죽어 천년, 만농 심성보 한시 역집

  • 심성보
  • |
  • 국학자료원
  • |
  • 2017-06-06 출간
  • |
  • 307페이지
  • |
  • 153 X 226 X 16 mm /471g
  • |
  • ISBN 9791187488675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9,800

카드할인

0원(즉시할인 0%)

적립금

200원 적립(1%적립)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추가혜택

네이버페이 무조건 1%적립+ 추가 1%적립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시와 향가의 해석에 새지평을열다.

제 4 승려편은 학문적 종교적 접근을 위한 편목이며, 제 5 중고등편은 학습하는 학생들을 대상한 것 이며 여타의 항목은 일반인,학자,승려,학생 모두가 대상이다.

한시는 평측과 압운이 있는 우리와 문법과 음운이 다른 중국의 정형시지만 이를 75음수로 치환, 우리 전래의 메기는 소리 받는 소리 개념으로 받아 이채 어문법과 음운의 문제를 자연스레 벗어남은 물론 5 언 7 언 정형의 한시를 75정형의 우리말 음수로 1 대 1 맞대응으로 정형시를 정형시로 받아냄으로써 완벽하고도 정확한 해석을 얻을 수 있었다.

저자가 시인이라 제4부에 승려 편을 실음으로써 국문학 불문학은 물론 전체적으로 한문학을 하는 학부 및 대학원생을 대상하면서 삼국유사에 실린 한시를 향가의 문학적 시상을 간파, 정확한 해석으로 향가에 접근 경상도 방언이 신라의 노래란 점에 근거하여 방언으로 접근하면서 해석이 보다 정치하게 되어, 외계어 같던 향가가 이제는 매끄러운 시상과에 전후좌우의 균형잡힌 해석으로 난제에 빠진 향가에 학문적 방향타를 제시함으로써 90년 향가 해석사에 다음 단계로 나갈 수 있게 되었다 할 것이다.

여기에 제5부로는 중˙고등 한시까지 실음으로써 학습하는 중˙고등학생들도 정확한 시의 뜻을 쉬이 익히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우고 있다

*

“주목”은 고구려. 신라~조선조(몇 수의 중국 한시 포함)전래 한시 454수를 7 5음수로 譯한 한시 역집으로써 鄕歌 26수 중 한시와 관련 있는 鄕歌 18수(당대 음 기준)를 더하여 “주목Ⅰ”과 “주목 Ⅱ”로 편성하였습니다. 편제상 “주목Ⅰ”에는 고구려. 신라. 발해. 고려. 승려 그리고 중고등 교과서에 실린 학습용 한시 219수와 함께 신라 고려 향가 18수를 실었고 “주목 Ⅱ”에는 조선조와 여류 한시를 싣게 됩니다.

지금껏 향가의 해석이 지지부진, 외계어 같이 보였던 이유는 해석이 바르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런 점을 깊이 성찰하여, 한시의 바른 해석은 물론 경상도 방언이나 문학적으로 까지 범위를 넓혀 향가를 연구하다 보니, 보다 정확한 향가 풀이로 해석이 매끄러워 졌다고 밝힌다. 학자들에게 향가의 바른 해석을 제시, 다음 학문으로 넘어 갈 수 있도록 토대를 튼튼히 하기 위해 “주목Ⅰ”을 그에 대한 답으로 제시한다.

목차

ㆍ朱木 序 | 3
ㆍ글 머리에 | 6

1부 故圓花 古時代 篇 | 22수
高 句 麗 (BC37년~AD668년)
■乙支文德 | 遺于仲文 (유우중문) _ 25
新 羅 (BC57년~AD935년)
■崔致遠 |
曉景(효경) _ 26 / 饒州?陽亭(요주파양정) _ 27 / 白沙場(백사장) _ 28 / 石榴(석류) _ 29 / 悲莫悲兮(비막비혜) _ 30 / 潮波靜退步登沙(조파정퇴보등사) _ 31 / 贈金川寺主(증금천사주) _ 32 / 黃山江(황산강) _ 33 / 贈獨居僧(증독거승) _ 34 / 蜀葵花(촉규화) _ 35 / 直道能行(직도능행) _ 36 / 秋夜雨中(추야우중) _ 37 / 郵亭夜雨(우정야우) _ 38 / 加倻山讀書堂(가야산독서당) _ 39 / 一入靑山(일입청산) _ 40
■朴仁範 | 涇州龍朔寺閣(경주룡삭사각) _ 42

渤 海 (698년~926년)
■王孝廉 | 和坂領客對月思鄕作(화판령객대월사향작) _ 44
■張汝霖 | 春溪(춘계) _ 46
■王庭筠 | 河陰道中(하음도중) 2首 中 其一 _ 47 / 絶句(절구) _ 48
■高憲 | 題新山寺壁(제신산사벽) _ 49
2부 滿庭月色 高麗 篇 (AD928년~1392년) | 83수 / 향가 1수
■崔承老 |
代人寄遠(대인기원) _ 53 / 東池新竹(동지신죽) _ 54 / 偶吟(우음) _ 55
■崔沖 | 滿庭月色(만정월색) _ 57

■朴寅亮 | 伍子胥廟(오자서묘) _ 59
■崔思齋 | 使宋船上(사송선상) _ 60
■郭輿 | 太平恣騎牛(태평자기우) _ 61
■金仁存 | 出鎭龍灣次示門生(출진용만차시문생) _ 62
■李資玄 | 樂道吟(락도음) _ 64
■金富軾 |
甘露寺次韻(감로사차운) _ 65 / 熏修院雜詠(훈수원잡영) _ 66 / 聞敎坊妓唱布穀歌有感(문교방기창포곡가유감) _ 67
■睿宗 | 悼二將歌(도이장가) 한시 1수ㆍ향가 1수 _ 69~70
■朴浩 | 鏡(경) _ 72

■鄭知常 |
醉後(취후) _ 73 / 團月驛(단월역) _ 74 / 送君(송군) _ 75 / 送人(송인) _ 76
■鄭襲明 | 石竹花 석죽화) _ 78 / 贈妓(증기) _ 79
■李之? | 西都口號(서도구호) _ 81
■崔惟淸 | 杏花(행화) _ 82
■鄭與齡 | 晋陽圖(진양도) _ 83
■安淳之 | 自寫醉睡先生眞題云(자사취수선생진제운) _ 84
■高兆基 | 書雲巖鎭(서운암진) _ 85
■申叔 | 棄官歸鄕(기관귀향) _ 86
■鄭敍 | 墨竹後(묵죽후) _ 87
■吳世才 | 病目(병목) _ 88
■金克己 |
思歸(사귀) _ 90 / 鴨江道中(압강도중) _ 91 / 途中卽事(도중즉사) _ 92 / 田家四時(전가사시) 秋 (추) _ 93
■李仁老 |
題天尋院壁(제천심원벽) _ 96 / 瀟湘夜雨(소상야우) _ 97 / 煙寺晩鏡(연사만경) _ 98 / 山居(산거) _ 99 / 偶吟(우음) _ 100
■李奎報 |
墮硏(타연) _ 102 / 遠友(원우) _ 103 / 冬日與客飮冷酒戱作(동일여객음랭주희작) _ 104 / 氣散毬(기산구) _ 105 / 夏(하) _ 106 / 石泉(석천) _ 107 / 讀陶潛詩(독도잠시) _ 108 / 詠中井月(영중정월) _ 109 / 夏日(하일) _ 110 / 過洛東上流(과락동상류) _ 111 / 詠厠鷄冠花 (영측계관화) _ 112 / 雪中訪友人不遇(설중방우인불우) _ 113

■陳? | 野步(야보) _ 115 / 月浸(월침) _ 116
■崔滋 | 國子監直盧聞採眞峰鶴淚(국자감직로문채진봉학누) _ 117
■張鎰 | 過昇平燕子樓(과승평연자루) _ 118
■金坵 | 落梨花(락리화) _ 119

■白文節 | 訪山寺(방산사) _ 120
■鄭可臣 | 雲(운) _ 121
■姜好文 | 熊津渡(웅진도) _ 122
■郭預 | 龍化池(룡화지) _ 123
■李? | 山居?題(산거우제) _ 124
■洪侃 | 雪(설) _ 125
■李兆年 | 百花軒(백화헌) _ 126
■安軸 | 江陵鏡浦臺(강릉경포대) _ 127
■李齊賢 |
山中雪夜(산중설야) _ 129 / 漁磯晩釣(어기만조) _ 130 / 漁村落照(어촌락조) _ 131 / 於摩訶衍庵(어마하연암) _ 132 / 居士戀(거사련) _ 133 / 濟危寶(제위보) _ 134
■崔瀣 | 遷居 (천거) _ 136
■韓宗愈 | 漢陽村莊 (한양촌장) _ 137
■安震 | 次安謹劑題竹院(차안근제제죽원) _ 139
■李穀 | 途中避雨有感(도중피우유감) _ 140
■?遜 | 山中雨(산중우) _ 141 / ?衣詞(도의사) _ 142
■王伯 | 山居春日(산거춘일) _ 144
■李公遂 | 下第贈登第(하제증등제) _ 145
■鄭? |
江口(강구) _ 146 / 西江雜興(서강잡흥) _ 147 / 梁州客舍壁(량주객사벽) _ 148
■李集 | 驪州題詠(려주제영) _ 149
■柳淑 | 碧瀾渡(벽란도) _ 150
■田祿生 | 題合浦營(제합포영) _ 151
■李邦直 | 普光寺(보광사) _ 152
3부 ?花浪 激動期 篇 (麗末~鮮初) | 29수
■李穡 |
鎭浦歸帆(진포귀범) _ 155 / 漢浦弄月(한포롱월) _ 156 / 卽事(즉사) _ 157
■趙云? | 卽事(즉사) _ 159
■鄭夢周 |
江南曲(강남곡) _ 160 / 春興(춘흥) _ 161 / 飮酒(음주) _ 162 / 野莊(야장) _ 163
■金九容 |
新月(신월) _ 164 / 病中(병중) _ 165 / 帆急(범급) _ 166
■?張壽 | 柳枝詞(류지사) _ 168 / 卽事(즉사) _ 169
■李崇仁 |

村居(촌거) _ 170 / 神孝寺湛師房(신효사잠사방) _ 171 / 哀柳淑(애류숙) _ 172
■吉再 | 卽事(즉사) _ 173
■鄭道傳 |
訪金居士野居(방김거사야거) _ 174 / 秋霖(추림) _ 175 / 奉奇東亭(봉기동정) _ 176 / 山中(산중) _ 178
■李詹 | 自適(자적) _ 180
■卞仲良 | 松山(송산) _ 181
■趙浚 | 安州懷古(안주회고) _ 182
■鄭以吾 |
次韻寄鄭伯容(차운기정백용) _ 183 / 次茂豊縣壁上韻(차무풍현벽상운) _ 184
■權近 | 春日城南卽事(춘일성남즉사) _ 185
■黃喜 | 鏡浦坮(경포대) _ 186
■權遇 | 秋日絶句(추일절구) _ 187
4부 上雲庵 僧侶 篇 | 53수/향가 17수
■慧超 | 南天路爲言 (남천로위언) _ 191
■崔行歸 ­ 漢詩 / 均如 ­ 鄕歌 |
禮敬諸佛頌(례경제불송) _ 193 / 禮敬諸佛歌(례경제불가) _ 194 / 稱讚如來(칭찬여례) _ 195~196 / 廣修供養(광수공양) _ 197~198 / 懺悔業障 (참회업장) _ 199~200 / /隨喜功德(수희공덕) _ 201~203 / 請轉法輪(청전법륜) _ 204~205 / 請佛往世(청불주세) _ 206~207 / 常隨佛學(상수불학) _ 208~209 / 恒順衆生(항순중생) _ 210~211 / 普皆廻向(보개회향) _ 212~213 / 總結无盡(총결무진) _ 214~215
■眞覺國師慧甚 |
寶鏡(보경) _ 217 / 上堂云(상당운) _ 218 / 夜坐示衆(야좌시중) _ 219 / 妙高臺上作(묘고대상작) _ 220 / 對影(대영) _ 221
■一然 |
怨歌(원가) _ 222~223 / 兜率歌(도솔가) _ 224~225 / 祭亡妹歌(제망매가) _ 226~227 / 禱千手觀音歌(도천수관음가) _ 228~229 / 來如歌(래여가) _ 230~231 / 遇賊歌(우적가) _ 232~233
■圓鑑國師 沖止 |
閑中雜詠(한중잡영) _ 235 / 絶句(절구) _ 236 /
遊山廻過三郞樓舟中作(유산회과삼랑루주중작) _ 237
■白雲和尙 景閑 | 居山(거산) _ 239
■懶翁和尙 惠勤 |
山居(산거) _ 240 / 大圓(대원) _ 241 / 響庵(향암) _ 242 / 無餘(무여) _ 243 / 警世(경세) _ 244 / 日出(일출) _ 245 / 玄禪者求偈(현선자구게) _ 246 / 自讚詩題(자찬시제) _ 247 / 示杏村李侍中?(시행촌리시중암) _ 248 /

慧禪者求偈(혜선자구게) _ 249 / 今生來生(금생래생) _ 250
■正思 | 詠溪水(영계수) _ 252
■梅花尼 | 詠梅花(영매화) _ 253
■己和 | 松皮飯(송피반) _ 254
■休靜 | 過古戰場(과고전장) _ 255
■普雨 |
宿上雲庵(숙상운암) _ 256 / 雪國送客孕成一律(설국송객잉성일률) _ 257
■逍遙太能禪師 | 禪詩(선시) _ 259
■淸鶴 | 懷人(회인) _ 260
■信如 | 水精橋(수정교) _ 261
■彦機 | 贈覺地(증각지) _ 262
■守初 | 睡起(수기) _ 263
■處能 | 奇呈江陽金明府(기정강양김명부) _ 264
■志安 | 酬法連(수법련) _ 265
■慧定 | 秋雨(추우) _ 266
5부 一枝花 中 高等 漢詩 | 32수/ 별첨 6수
■杜甫 | 絶句(절구) _ 269
■李山海 | 栗(율) _ 270
■南怡 | 白頭山石(백두산석) _ 271
■吉再 | 述志(술지) _ 272
■賈島 | 尋隱者不遇(심은자불우) _ 273
■曺植 | 偶吟(우음) _ 274
■杜牧 | 山行?(산행) _ 275
■朴齊家 | 爲人賦嶺花(위인부영화) _ 276
■李白ㆍ金삿갓 | 擧頭(거두) 月白(월백) _ 277
■凌雲 | 待郞君(대낭군) _ 278
■李楫 | 晩晴(만청) _ 279
■李植 | 松竹問答(송죽문답) _ 280
■鄭太和 | 狂童(광동) _ 281
■許楚姬 | 江南曲(강남곡) _ 282
■李亮淵 | 穿雪野中去(천설야중거) _ 283
■成石璘 | 金剛山(금강산) _ 284
■李白 | 山中問答(산중문답) _ 285
■陶淵明 | 四時(사시) _ 286
■張志淵 | 笑白髮人(소백발인) _ 287

■崔護 | 題都城南莊(제도성남장) _ 288
■李夏坤 | 讀書有感(독서유감) _ 289
■黃玹 | 絶命詩(절명시) _ 290
■丁若鏞 | 打麥行(타맥행) _ 291
■丁若鏞 | 耽津漁歌(탐진어가) _ 293
■丁若鏞 | 浮萍草(부평초) _ 294
■杜甫 | 江南逢李龜年(강남봉 이구년) _ 296
■白光勳 | 弘慶寺(홍경사) _ 297
■蘇東坡 | 琴詩(금시) _ 298
■白居易 | 商山路有感(상산로 유감) _ 299
■李穡 | 浮碧樓(부벽루) _ 300
■杜甫 | 月夜(월야) _ 301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 별 첨 >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주목Ⅰ/이하 중복
■乙支文德 | 遺于仲文(유우중문) _ 302
■鄭道傳 | 訪金居士野居(방김거사야거) _ 303
■崔致遠 | 秋夜雨中(추야우중) _ 304
■鄭知常 | 送君(송군) _ 305
주목Ⅱ/이하 중복
■林悌 | 無語別(무어별) _ 306
■玉峰 | 閨情(규정) _ 307

ㆍ후기 | 308

저자소개

저자 만농晩濃심성보沈聖輔는
경남 마산 출신, 경북대 법학과 졸업
문예춘추 2010년 봄호로 등단
한국 문인 협회 회원, 한국 시조 시인 협회 회원, 문예 춘추 회원, 계간 문예 작가회 중앙 위원
매월당 김시습상 수상 (나의 노래 나의 시 2011년)

저서 : 시조집 [나의 노래 나의 시], 7 5조 漢詩譯集 [몽각요]
블로그 : 만농 심성보의 집

도서소개

『주목』제1권. 이 책은 학자들에게 향가의 바른 해석을 제시, 다음 학문으로 넘어 갈 수 있도록 토대를 튼튼히 다져주는 책이다. 저자 심성보는 한시의 바른 해석은 물론 경상도 방언이나 문학적으로 까지 범위를 넓혀 향가를 연구하다 보니, 보다 정확한 향가 풀이로 해석이 매끄러워 졌다고 밝힌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